쾌락코딩

Kotlin exhaustive with sealed class and when

|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열거형(Enum)이 필요할 때가 굉장히 많다. 대표적인 예로 요일(월,화,수…일)이나 방향(동,서,남,북)처럼 특정 카테고리 안에서 열거할 수 있는 값들을 나타낼 때 쓰인다. 더 나아가서 우리가 창조해낸 객체지향 세상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열거형들이 추가로 생겨날 수 있다.

코틀린에서는 언어 자체에서 Sealed class라는 개념을 지원한다. Enum을 사용하면 각각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들이 싱글톤으로 인식되는 반면, Sealed class를 사용하면 특정 타입의 객체를 여러개 생성해 낼 수 있으며, 싱글톤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Sealed class가 익숙하지 않다면 공식문서를 참조하자.

when

우선 when의 특징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보자. whenif와 마찬가지로 식(expression)과 문(statement)로 사용이 가능하다. 식으로 쓰인다는 말은 반환되는 값이 있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아래의 예제를 보자.

carbon (4)

위의 코드는 ifwhen이 식(expression)으로 사용 되어 값을 반환한다. 값을 반환하도록 사용되었기 때문에 when 에서는 꼭 else가 있어야만 한다. 만약 else가 없다면 fruit가 “apple”, “orange”, “banana”가 아닐 때 어떤 값을 반환해야 하는지 정할 수 없으므로 컴파일 에러가 난다.

반면 if, when을 문(statement)로 사용할 때는 값을 반환하지 않는다. 아래 예제는 statement로 사용하는 예제이다.

앞선 예제와는 다르게 값을 반환하지 않는다. 따라서 else문이 없어도 상관없다.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뿐 컴파일에러, 런 타임에러는 일어나지 않는다.

when + sealed class

Sealed class의 효력은 when과 함께할 때 강력하게 나타난다. Sealed classwhen expression을 함께 쓰는 경우를 상상해보자. Sealed class를 사용하는 이유는 어떤 값이 특정한 카테고리 안에 속해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UI를 그리는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데이터를 요청한 이후의 상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loading이거나, 요청에 실패(Error) 했거나, 성공(Success) 하여 값을 받아왔거나. 이를 아래 처럼 나타낼 수 있고, 실제로 사용한다면 expression 보다는 statement로 사용할 일이 많다.

여기서 조심 해야할 부분은 when이 statement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uiStateLoaindg, Error, Success에 걸리지 않더라도 컴파일 에러가 나지 않고, 런 타임 때 코드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지금 상황에선 uiState는 세가지 상태만 존재하니 무조건 조건에 걸릴것이다.

변화 대응에 안전한 코드로 만들기

다른 누군가가 필요에 의하여 UiStateRetry라는 상태 값을 추가하면 어떻게 될까?

아까 보안던 when문에서 컴파일 에러를 띄워주지 않기 때문에 Retry 상태 체크를 까먹을 확률이 매우 높다. else를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Retry가 아니라 다른 값이 추가된다면 그에 대응하지 못한다.

먼 훗날 본인 혹은 다른 개발자가 UiState에 다른 상태를 추가하게 될 경우,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켜 이를 파악하고자 한다면 아래처럼 when을 식(expression)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image

when을 식으로 사용하면 꼭 값을 반환해야 하기에 Retry를 체크하라는 에러가 뜬다. 그러나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다. 먼 훗날 hello라는 변수를 보면 “사용하지도 않는 변수가 왜 있지?”라며 코드의 가독성을 해칠 가능성이 보인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let을 사용하여 컴파일 에러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것 역시 먼 훗날 다른 개발자가 보기에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코드이다.

image

let을 사용하게 되면 statement처럼 쓴 when을 식(expression)처럼 사용할 수 있다. let 함수는 자신을 호출한 객체를 람다 블록의 수신 객체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when이 무언가를 반환 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컴파일 에러가 난다. 하지만 이것 역시 먼 훗날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볼 때 의미 없어 보이는 .let 블럭을 지울 확률이 높아 보인다.

exhaustive

프로젝트 여기저기서 exhaustive라는 코드가 종종 보여서 구현체를 보았더니 아주 심플하다.

val <T> T.exhaustive: T
    get() = this

exhaustive : (하나도 빠뜨리는 것 없이) 철저한

바로 위에서 let을 사용하여 statement를 expression으로 대체한 원리와 같다. exhaustive라는 의미와 부가적인 코드가 없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고 추후 혼란을 일으킬 여지가 없어보인다.

Comments